유용한 정보

설날의 의미는 무엇이며 언제부터 시작했나요?

오늘을 사랑하자! 2025. 1. 9. 13:30
728x90
반응형

 

1. 설날의 어원과 의미

 

1.1. '설'이라는 명칭의 어원

  • '설'의 어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합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조심스럽다’ 또는 ‘삼가다’라는 의미의 고어 *‘섧다’*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는 새해를 맞이하며 한 해의 복을 빌고,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새출발을 하려는 태도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 또 다른 해석으로는, ‘설’이 ‘새로움’을 뜻하는 고대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이는 새로운 시간의 시작, 즉 한 해의 첫날을 의미합니다.

 

1.2. '설'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해석

  • 설날은 단순히 한 해가 시작되는 날이 아니라, 가족과 공동체의 화합을 기념하는 날로 인식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설은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집안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 설날의 ‘설’이라는 단어는 '첫' 또는 '처음'의 의미와도 연결되며, ‘첫날’의 특별함을 상징합니다. 이를 통해 새해를 맞아 이전의 잘못을 반성하고 새로운 다짐을 하는 기회로 삼는다는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2. 역사 속 설날의 명칭들

 

2.1. 다양한 설날 명칭의 사용

  • 설날은 역사적으로 ‘원일(元日)’ 또는 ‘원단(元旦)’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 원일(元日): ‘첫 번째 날’이라는 뜻으로, 음력 정월 초하루를 의미합니다. 이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고려와 조선 시대에 사용되었습니다.
    • 원단(元旦): ‘첫날의 새벽’이라는 의미로, 주로 유교적 의례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원조(元朝): 새해의 첫날이라는 뜻으로, 주로 국가 행사 기록에서 발견됩니다.

 

2.2. 문헌에 나타난 설날 명칭

  • 삼국사기: 삼국 시대부터 설날을 기념한 기록이 발견됩니다. 이는 고대에도 음력 초하루를 새해로 인식하고, 이를 특별한 날로 여겼음을 보여줍니다.
  • 고려사: 고려 시대에는 설날이 국가적인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원일’이라는 명칭이 주로 사용되었고, 왕실과 귀족들은 이 날을 기념하여 연회를 열었습니다.
  • 조선왕조실록: 조선 시대에는 설날에 조상께 차례를 올리고 왕이 신하들에게 새해 덕담을 나누는 의례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원일’, ‘원단’, ‘설’ 등의 명칭이 혼용되었습니다.

 

2.3. 다른 명칭과 그 상징성

  • 세수(歲首): 한 해의 머리를 뜻하며, 조선 후기 문헌에서 종종 사용되었습니다.
  • 신일(新日): 새로운 날이라는 의미로, 한 해의 시작을 상징합니다.
  • 이러한 다양한 명칭은 설날이 단순한 날짜 이상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새해를 경건히 맞이하는 태도와 함께, 가족과 사회의 화합을 강조한 전통적 가치를 반영한 것입니다.

 

3. 설날에 대한 최초의 기록

 

3.1. 고대 문헌 속 설날 기록

  • 설날에 대한 최초의 문헌적 기록은 삼국사기와 같은 고대 한국 역사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삼국사기 신라 본기에는 음력 정월 초하루에 왕과 신하가 모여 하늘과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고, 새해의 복을 기원했다는 기록이 등장합니다. 이를 통해 이미 삼국 시대부터 설날이 국가적 행사로 중요시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고구려와 백제에서도 정월 초하루에 신년 의식을 치렀다는 간접적인 기록이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유래한 신년 축제가 한국 고유의 문화로 변모했음을 보여줍니다.

 

3.2. 고려 시대의 설날

  • 고려 시대에는 설날이 더욱 체계적인 의례와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 고려사에는 설날이 원일(元日)로 기록되어 있으며, 왕실과 귀족들이 신년을 축하하며 연회를 열고, 백성들과 덕담을 나누는 모습이 언급됩니다.
    • 이 시기에 차례(祭禮)와 같은 유교적 전통이 본격적으로 설날의 중심 의례로 자리 잡았습니다.

 

3.3. 조선 시대의 설날

  • 조선 시대에는 설날이 명확한 국가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 조선왕조실록에는 설날에 왕이 신하들에게 새해 덕담을 전하고, 신하들은 왕에게 문안 인사를 드리는 신년 하례(賀禮)가 주요 의식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설날에는 궁중에서 다양한 음식과 놀이가 행해졌으며, 왕실의 행사뿐 아니라 일반 백성들의 명절 풍습도 점차 다양해졌습니다.

 

4. 전통 사회에서의 설날 풍습

 

4.1. 조상 제사와 차례

  • 설날의 가장 중심이 되는 의례는 조상 제사와 차례입니다.
    • 음력 정월 초하루 아침, 가정에서는 차례상을 차리고 조상께 감사와 새해의 복을 기원하는 예를 올렸습니다.
    • 차례상에는 떡국, 나물, 전, 생선 등의 전통 음식이 올랐으며, 각각의 음식은 복과 장수를 상징했습니다.

 

4.2. 세배와 덕담

  • 설날 아침에는 세배를 통해 웃어른들께 새해의 인사를 드리고, 덕담을 나누었습니다.
    • 어린 세대는 웃어른께 세배를 올리며 공경심과 감사의 마음을 전했고, 어른들은 세뱃돈을 주며 복을 빌어주었습니다.
    • 세배는 단순한 인사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전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4.3. 설날 음식과 그 의미

  • 설날의 대표 음식은 떡국으로, 이는 한 해를 먹는다는 의미와 함께 새로운 시작을 기원하는 상징적 음식으로 여겨졌습니다.
    • 떡국의 길쭉한 떡은 장수와 번영을, 하얀 국물은 순수함과 새로움을 상징합니다.
    • 지역에 따라 전통적으로 송편, 약식, 한과 등이 설날 음식으로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4.4. 민속놀이와 공동체 활동

  • 설날에는 다양한 민속놀이가 행해졌습니다.
    • 윷놀이: 가족과 이웃들이 함께 즐기는 대표적인 놀이로, 협동과 경쟁을 통해 친목을 도모했습니다.
    • 널뛰기제기차기: 주로 여성과 아이들이 즐기던 놀이로, 명절의 흥겨운 분위기를 더했습니다.
    • 연날리기: 설날부터 정월 대보름까지 행해진 놀이로, 액운을 날려버리고 새해의 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4.5. 복을 기원하는 설날의 기도와 의례

  • 설날에는 집안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다양한 기도와 의례가 행해졌습니다.
    • 집안에서는 부적을 붙이거나 정화수를 떠놓고 기도하며, 마을 단위로는 공동체 의례를 통해 한 해의 풍년과 안녕을 빌었습니다.

 

5. 다른 나라의 설날 명칭과 문화

 

5.1. 중국: 춘절(春節)

  • 명칭과 의미
    • 춘절은 중국 최대의 명절로, '봄의 시작'이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음력 1월 1일부터 15일간 이어지며, 정월 대보름까지를 명절 기간으로 간주합니다.
  • 대표 풍습
    • 설날 전날(除夕): 가족들이 모여 만찬을 즐기는 '단위판(团圆饭)'을 나눕니다.
    • 복(福)자 걸기: 거꾸로 된 ‘복’ 글자를 문에 붙여 복이 도착한다는 의미를 담습니다.
    • 폭죽과 용춤: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새해 복을 기원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폭죽을 터뜨리고 용춤을 춥니다.

 

5.2. 베트남: 뗏(Tết Nguyên Đán)

  • 명칭과 의미
    • 뗏은 ‘설날’이라는 뜻으로, '음력 첫 아침'을 의미하는 '뗏 응우옌 단(Tết Nguyên Đán)'의 줄임말입니다.
  • 대표 풍습
    • 가족 제사: 설날 전날, 조상의 영혼을 집으로 모셔 차례를 올립니다.
    • 반쯩(Bánh Chưng): 찹쌀, 돼지고기, 녹두로 만든 전통 떡으로, 뗏의 상징적인 음식입니다.
    • 키엔 헝(Kiêng hãnh): 설날 기간 동안 부정적인 말이나 행동을 금기시합니다.

 

5.3. 일본: 오쇼가쓰(お正月)

  • 명칭과 의미
    • 오쇼가쓰는 '정월'을 뜻하며, 일본에서 양력 1월 1일에 새해를 맞이하는 풍습입니다.
  • 대표 풍습
    • 가도마츠와 시메나와: 문 앞에 소나무와 대나무로 만든 장식을 두어 신을 맞이합니다.
    • 오조니와 오세치 요리: 오조니(떡국)와 전통 도시락인 오세치 요리를 먹으며 새해를 축하합니다.
    • 하쓰모데: 새해 첫 참배로 신사나 절에 방문해 한 해의 복을 빕니다.

 

5.4. 몽골: 차강사르(Tsagaan Sar)

  • 명칭과 의미
    • 차강사르는 '흰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 설날을 의미합니다.
  • 대표 풍습
    • 가족 방문: 나이순으로 연장자 집을 먼저 방문하여 세배를 올립니다.
    • 음식: 보즈(만두)를 비롯해 다양한 유제품과 양고기를 나눕니다.
    • 축제: 말을 타거나 전통 춤과 노래로 명절을 기념합니다.

 

5.5. 기타 국가

  • 한국 이외의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도 설날은 각기 다른 명칭과 풍습으로 축하되지만, 가족과 조상에 대한 경의, 새해 복을 기원하는 공통된 의미를 공유합니다.

 

6. 설날 관련 역사 기록과 문헌

 

6.1.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 삼국 시대의 설날에 대한 기록은 주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납니다.
    • 신라에서 정월 초하루를 맞아 하늘에 제사를 올리고, 백성들과 잔치를 벌인 모습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 고구려에서는 음력 초하루를 기점으로 한 민속 의례와 축제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6.2.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 고려사에는 왕실이 설날을 기념하여 백성과 함께 연회를 열고, 외국 사신을 초청해 신년 축하를 나눈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특히 고려의 설날은 유교적 제례와 불교적 의례가 결합된 독특한 형태로 운영되었습니다.

 

6.3. 조선왕조실록

  • 조선 시대의 설날은 매우 체계적이고 공적인 행사로 기록되었습니다.
    • 설날의 차례와 제사 의례, 신년 하례가 상세히 묘사되었으며, 왕실은 설날을 맞아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었습니다.
    • 조선 후기에는 설날 풍속에 대한 설명이 열양세시기와 같은 세시 풍속서에 자세히 담겨 있습니다.

 

6.4. 동국세시기와 열양세시기

  •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조선 후기 풍속학자 홍석모가 집필한 세시 풍속서로, 설날에 행해졌던 풍습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 설날의 차례, 세배, 음식, 민속놀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담겨 있습니다.
  •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는 북경에 머물던 조선 사신의 기록으로, 조선과 중국의 설날 풍습을 비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