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씽』이란 무엇인가?
『원씽(The One Thing)』은 미국의 부동산 기업가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게리 켈러(Gary Keller)**가 제이 파파산(Jay Papasan)과 함께 집필한 자기계발서다. 이 책의 핵심 메시지는 단순하지만 강력하다.
👉 "성공은 한 번에 한 가지 중요한 일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데서 시작된다."
우리는 종종 많은 일을 하려 하다가 정작 중요한 목표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원씽』에서는 성공한 사람들은 항상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목표(One Thing)**에 집중했다고 주장한다.
📌 『원씽』의 핵심 개념
- "도미노 효과(Domino Effect)"
- 작은 도미노가 점점 더 큰 도미노를 쓰러뜨리듯이, 하나의 중요한 행동이 연쇄적으로 더 큰 성공을 만들어낸다는 개념이다.
- 처음에는 작은 변화를 만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집중하면 결국 큰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 "초점 질문(The Focusing Question)"
-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단 한 가지는 무엇인가? 그것을 하면 다른 모든 것이 쉬워지거나 불필요해지는 것은?"
- 이 질문을 통해 우리는 가장 중요한 목표를 찾고, 그 목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 80/20 법칙(Pareto Principle)과 원씽
-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의 법칙에 따르면, 80%의 결과는 20%의 원인에서 나온다.
- 『원씽』에서는 **"그 20%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1%를 찾는 것"**이 진정한 집중의 시작이라고 설명한다.
2. 왜 우리는 너무 많은 것을 하려 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다양한 일을 동시에 시도한다. 하지만 너무 많은 것을 하려다 보면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된다. 『원씽』에서는 우리가 이런 실수를 반복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 우리가 너무 많은 것을 하려는 이유
- 멀티태스킹이 생산성을 높인다고 착각하기 때문
- 사실 멀티태스킹은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의 뇌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면 오히려 생산성이 떨어진다.
- 연구에 따르면, 한 작업에서 다른 작업으로 전환할 때마다 40%의 생산성이 감소한다고 한다.
- "바쁨(Busyness)이 곧 생산성"이라는 착각
- 우리는 바쁘게 움직이면 뭔가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 저자는 **"바쁜 것과 생산적인 것은 다르다"**고 강조하며, 중요한 일에 집중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한다.
- 사회적 기대와 압박
- 우리는 다재다능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압박을 받는다.
- 하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단 한 가지에 집중했기 때문에 성공했다. 예를 들어, 빌 게이츠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스티브 잡스는 디자인과 제품 혁신에 집중했다.
- 즉각적인 보상을 원하기 때문
- 장기적인 목표보다는 즉각적인 성취감을 주는 작은 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 이메일 확인, 메시지 답장, 불필요한 회의 등 사소한 일에 시간을 빼앗기는 이유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3. 단 하나에 집중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우리는 보통 여러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려고 한다. 운동도 해야 하고, 일도 해야 하고, 인간관계도 신경 써야 하고, 자기 계발도 해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너무 많은 것에 신경을 쓰면 정작 중요한 것에 충분한 에너지를 쏟을 수 없다.
『원씽』에서는 단 하나의 목표에 집중했을 때, 삶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설명한다.
📌 1. 집중의 힘: '도미노 효과'
저자는 **"도미노 효과(Domino Effect)"**를 강조한다.
- 작은 도미노를 쓰러뜨리면 점점 더 큰 도미노를 연쇄적으로 쓰러뜨릴 수 있듯이,
- 한 가지 중요한 일에 집중하면 점차 더 큰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 실제 사례
- 빌 게이츠는 학업을 중단하고 오직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했다. 결국 마이크로소프트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 워런 버핏은 투자에만 집중했다. 그는 다양한 사업을 벌이지 않고, 오로지 뛰어난 투자 기회를 찾는 데 집중했다.
이처럼 한 가지 중요한 것에 집중하면 그 효과가 다른 영역으로까지 확장된다.
📌 2. 몰입 상태(Flow)로 인한 성과 극대화
우리는 한 가지 중요한 일에 집중할 때 몰입(Flow)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 몰입 상태에서는 시간 감각이 사라지고, 뇌의 집중력이 최고조로 올라간다.
- 연구에 따르면, 몰입 상태에서 작업할 때 생산성이 500% 증가할 수 있다고 한다.
- 즉, 산만한 상태에서는 5시간 걸릴 일을 몰입하면 1시간 안에 끝낼 수도 있다.
🔥 몰입을 위한 환경 만들기
- 하루 중 가장 집중이 잘 되는 시간을 정하고, 그 시간에는 한 가지 일만 한다.
- 스마트폰 알림을 차단하고 방해 요소를 최소화한다.
- 90~120분 동안 집중하고, 짧은 휴식을 반복하는 '포모도로 기법'을 활용한다.
📌 3. 스트레스 감소와 삶의 균형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려 하면 오히려 스트레스가 쌓인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목표 하나에 집중하면 불필요한 선택을 줄일 수 있어 스트레스가 감소한다.
✔ 예를 들어보자.
- 매일 "오늘 뭘 해야 하지?" 고민하는 대신,
- 단 하나의 목표가 정해져 있다면 그것만 하면 되므로 정신적 피로가 줄어든다.
또한, 한 가지 목표에서 성공하면 삶의 다른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건강(운동)에 집중하면 에너지가 올라가고, 이는 업무 효율까지 높여줄 수 있다.
4. ‘원씽’을 찾는 법: 내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제 우리는 **"단 하나에 집중하면 강력한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다면, 내가 집중해야 할 ‘원씽’은 무엇일까?
📌 1. 초점 질문(The Focusing Question) 활용하기
저자는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을 찾기 위해 다음 질문을 하라고 제안한다.
👉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단 한 가지는 무엇인가? 그것을 하면 다른 모든 것이 쉬워지거나 불필요해지는 것은?"
이 질문은 단순하지만 매우 강력하다.
✔ 예를 들어, 당신이 사업을 키우고 싶다면?
- "매출을 올리는 가장 효과적인 한 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 "내가 집중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고객은 누구인가?"
✔ 건강을 개선하고 싶다면?
- "가장 효과적인 운동 습관 한 가지는 무엇인가?"
- "어떤 식습관을 바꾸는 것이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올까?"
이 질문을 반복하다 보면, 가장 중요한 목표가 무엇인지 명확해진다.
📌 2. 80/20 법칙 적용하기
**80/20 법칙(Pareto Principle)**에 따르면,
- 80%의 결과는 20%의 원인에서 비롯된다.
- 즉, 가장 중요한 20%의 일을 찾아 집중하면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다.
✔ 예를 들어보자.
- 당신의 업무에서 가장 큰 성과를 내는 20%의 행동은 무엇인가?
- 당신의 삶에서 가장 큰 행복을 주는 20%의 활동은 무엇인가?
이 20%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1%를 찾아 집중하는 것이 『원씽』의 핵심이다.
📌 3. ‘원씽’을 찾기 위한 실천 방법
1️⃣ 자신의 목표를 적어보기
- 1년 후, 5년 후 이루고 싶은 목표를 적는다.
- 목표 중에서 가장 중요한 1가지를 선택한다.
2️⃣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가장 중요한 행동을 찾는다.
-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단 한 가지는?"
- 예를 들어, "건강해지고 싶다"면 → "매일 30분 걷기"가 될 수도 있다.
3️⃣ 그 행동을 반복해서 습관으로 만든다.
- 매일 같은 시간에 일정하게 실천한다.
- 방해 요소를 제거하고 ‘원씽’에 집중할 환경을 만든다.
5. ‘원씽’을 실천하는 방법: 습관과 루틴 만들기
『원씽』에서 강조하는 것은 한 가지 중요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목표를 세우고도 지키지 못하는 이유는 습관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원씽’을 실천하는 습관과 루틴을 만들 수 있을까?
📌 1. '원씽'을 실천하기 위한 66일 법칙
우리는 보통 습관을 형성하는 데 21일이 걸린다는 말을 듣곤 한다.
하지만 『원씽』에서는 새로운 습관을 만들려면 평균 66일이 걸린다고 주장한다.
- 런던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새로운 행동이 자동화되어 습관이 되려면 66일 동안 반복해야 한다.
- 즉, 한 가지 중요한 목표를 습관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 66일 동안 매일 반복해야 한다.
✔ 예를 들어보자.
-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 운동하기"를 습관으로 만들고 싶다면?
- 최소 66일 동안 같은 시간에 운동을 해야 한다.
- 처음에는 어렵지만, 반복할수록 점점 자동화된다.
📌 2. ‘원씽’을 실천하는 루틴 만들기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스마트폰을 확인하고, 무의식적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만의 루틴을 가지고 하루를 설계한다.
✔ 효과적인 루틴을 만드는 3단계
1️⃣ 우선순위를 정하라
- 가장 중요한 ‘원씽’을 하루의 최우선 순위로 설정한다.
- 하루 일과 중 가장 에너지가 높은 시간대에 배치한다.
- 예) 중요한 프로젝트 작업을 오전 9~11시에 배치하기
2️⃣ 환경을 설계하라
- 목표 실천을 방해하는 요소(스마트폰, TV, 소음)를 제거한다.
- ‘원씽’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예) 독서를 습관화하고 싶다면, 침대 옆에 책을 놓아두기
3️⃣ 시간 블로킹(Time Blocking)을 활용하라
- 하루 일정에서 ‘원씽’에 집중할 시간을 ‘블록’으로 정해둔다.
- 이 시간에는 절대 다른 일을 하지 않는다.
- 예) "오전 9~11시는 오직 원고 작성 시간"으로 정하기
📌 3. ‘원씽’을 지속하는 법: 책임 파트너 만들기
목표를 꾸준히 실천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책임질 사람을 만드는 것이다.
- 목표를 공유할 친구, 동료, 멘토를 찾아라.
- 매주 한 번씩 실천 여부를 점검하라.
✔ 예를 들어보자.
- 헬스장에 가는 것이 목표라면? → 친구와 함께 등록하고 서로 확인하기
- 독서를 습관으로 만들고 싶다면? → 독서 모임을 만들고 함께 책을 읽기
'일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초의 소설은 무엇일까?—문학의 기원과 숨겨진 이야기 (10) | 2025.03.20 |
---|---|
걸리버 여행기 초판, 풍자의 대가 스위프트가 정말 하고 싶었던 말은? (16) | 2025.02.04 |
왜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은 지금도 경제학의 바이블로 불릴까? (29) | 2025.01.20 |
토드 로즈(Todd Rose)의 저서 평균의 종말(The end of average): 개인화를 위한 혁명적 통찰 (86) | 2025.01.12 |
지리의 힘(Prisoners of geography): 팀 마샬(Tim Marshall)이 밝히는 지리가 결정하는 세계의 운명 (21) | 2025.01.11 |